개구리
캠벨
레드 레닌
캄푸라쥬
바스키아
슈퍼맨
라이프 세이버스
만 레이
마미
마릴린
'앤디워홀[Andy Warhol]'
[1928.8.6~1987.2.22]
'미국 팝아트의 거장 앤디 워홀(Andy Warhol)'
192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피츠버그에서 체코슬로바키아 이주민의 아들로 태어났다.
워홀은 1949년 피츠버그에 있는 카네기 기술연구소 디자인과를 졸업하고 뉴욕에서 약 10년간 상업적인 삽화가로 일했다.
내성적이었지만 기민함과 협동심, 그리고 프로정신을 갖추었던 그는 삽화로 명성을 얻어 미술감독가 모임에서 주는 상을 받기도 하였으나 그러한 성공이 상업미술가보다는 순수미술가로 인정받길 원하는 그의 욕망을 꺾진 못했다
1950년대말에 회화를 시작하였고 1960년대 팝 아트 운동의 창시자인 그의 대량생산된 미술품은 미국 상업문화의 진부한 소재들을 이상화시켰다.
그는 자신을 대중 앞에 공공연하게 노출시킴으로써 예술가의 개념을, 성공한 유명인사도 아니고 사업가도 아닌 비개성적이고 무의미한 존재로 제시했다.
1962년에는 캠벨 수프 깡통, 코카콜라 병, 브릴로 비누상자 등을 그린 작품을 그는 이들 작품을 뉴욕의 스테이블 화랑에서 전시하였는데 그 반응은 엄청난 것이었다.
1963년에는 사진을 이용한 실크 스크린을 통해 이러한 소비제품들의 진부한 이미지들을 대량생산해냈으며, 광고 일러스트 및 상업미술 작품 등으로 폭넓은 활동을 보였다. 이 후 화려한 색채로 약간씩 변화를 주어 마릴린 몬로, 재키 케네디, 엘비스 프레슬리 등 인기스타를 중심으로 이미지를 끊임없이 반복시킨 유명한 인물들의 초상을 판화로 제작했다.
1965~ 66년 회고전을 열었을때 관중들의 성화로 옆문으로 빠져나왔어야 할만큼 성황을 이루었다고 한다. 1970년대는 유일한 미국의 팝화가로 뽑혔고 이외에도 그는 플레이보이지에 작품을 기고하는 르로아 네이만니와 낙서화가(그래피티)을 그리는 장 미셸 바스키아와 함께 전시회를 갖는 등 당대의 움직임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1960년대에는 영화제작에도 많은 힘을 기울였다.
The Chelsea Girls(1966)·Eat(1963)·My Hustler(1965)·Blue Movie(1969) 등 그의 영화들은 언더그라운드 계열에 속하며 주로 그의 창조적인 에로티시즘과 플롯 없이 장시간(최장 25시간 소요) 이어지는 지루함 등으로 유명하다.
1975년에 그의 〈앤디 워홀의 철학 The Philosophy of Andy Warhol〉이 출판되었으며, 뒤이어 〈1970년대의 조망 Portraits of the Seventies〉(1979)·〈Andy Warhol's Exposures〉(1979) 등이 출간되었다.
팝 아트[Pop art]
1950년대 후반부터 주로 영국과 미국에서 나타난 예술 현상
팝 아티스트 앤디 워홀이 목판 위에 실크 스크린으로 ...
팝 아트라는 명칭은 미술 평론가 로렌스 앨러웨이가 이 경향의 회화와 조각의 서술적인 표현양식에 대하여 언급한 데서 유래했다. 영국 팝 아트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한 사람인 리처드 해밀턴에 의하면 팝 아트는 "통속적이고, 일시적이고, 소비적이고, 값싸고, 대량생산적이며, 재치 있고, 관능적이고, 선동적이고, 활기차고, 대기업적인 미술 양식"이다.
특히 미국의 로이 리히텐슈타인, 앤디 워홀, 클레이즈 올덴버그, 톰 웨셀먼, 제임스 로젠퀴스트, 로버트 인디애나, 영국의 데이비드 호크니, 피터 블레이크 같은 팝 미술가들은 작품에서 현대생활에 강한 충격을 주는 대중문화의 모든 현상을 가리지 않고 특징적으로 묘사했다. 그들은 긍정도 부정도 담지 않고 노골적·직접적으로, 또한 그림 자체를 있게 한 매스 미디어에서 사용된 정확한 상업적 기법을 수단으로 도상학적인 측면(텔레비전이나 만화책, 영화, 잡지 및 모든 형태의 광고에서 고안됨)을 뚜렷하게 객관적으로 드러냈다.
미국과 유럽에서 매우 개인적인 미국의 추상표현주의의 물결이 가라앉을 무렵 팝 아트는 보다 객관적·보편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미술 양식으로 되돌아가고자 했다. 이와 더불어 과거의 순수예술이 주장하는 우월성과 당대의 전위미술에서 볼 수 있는 허식을 모두 거부함으로써 전통을 파괴했다. 팝 아트는 특정한 사회적 상황을 충실하게 반영했으며 매스 미디어에 의해서 쉽게 이해될 수 있는 이미지를 즉각적으로 받아들이고 이용했기 때문에 문화적인 대사건이 되었다. 통속적·선정적·반미학적인 대사건이 농담으로 평가되어왔지만, 생활에 직접 반응하는 미술, 즉 전문가와 훈련받지 않은 관람자들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민주적·비차별적인 미술로서 평가되었다.
팝 아트는 당대의 파리풍 미술에서 볼 수 있는 진지함과 좀더 넓게는 유럽에 전쟁을 몰고온 정치적·문화적 상황을 조롱한 1920년대의 허무주의 운동인 다다이즘의 후예로 볼 수 있다. 당대의 대량생산물을 찬양함으로써 미술과 생활의 간격을 좁히려고 한 미국 다다이즘의 대표자인 마르셀 뒤샹은 팝 아트의 발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물이다. 팝 아트에 영향을 준 다른 미술가로는 스튜어트 데이비스, 제라드 머피, 페르낭 레제 등이 있는데 이들은 기계공업시대의 정밀하고 대량생산적·상업적인 물건을 그렸다. 직접적인 선조로는 1950년대에 비록 회화적이고 표현적인 기법을 사용하기는 했지만 깃발과 맥주깡통 등을 그린 미국의 미술가 재스퍼 존스, 래리 리버스, 로버트 로젠버그 등이 있다.
특히 인상적인 작품으로는 상업 인쇄물에서 사용하는 색점에 이르기까지 연속만화를 충실하게 복제한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그림과 수프 깡통의 상표와 비누 상자, 나란히 배열된 청량음료병을 있는 그대로 정밀하게 그리거나 실크 스크린 기법으로 찍어낸 앤디 워홀의 작품, 욕실의 붙박이 설비와 타자기 또는 거대한 햄버거 등을 부드러운 플라스틱재로 제작한 클레이즈 올덴버그의 작품, 얼굴 없는 인물의 섹스 심볼을 노골적이고 직접적으로 그린 톰 웨셀먼의 〈미국의 거대한 누드 Great American Nudes〉, 그리고 폐품처리장에서 주워온 실제의 환경물(간이식당의 식탁과 버스 등)에 실물 크기의 석고 인물을 설치한 조지 시걸의 구조물 등이 있다.
대부분의 팝 미술가들은 작품에서 비개성적·도시적인 태도를 추구했다. 그러나 미묘한 표현으로 사회를 비판한 것도 있는데 예를 들면 올덴버그의 늘어진 오브제와 워홀의 똑같은 평범한 이미지의 단순한 반복은 명백히 혼란스러운 효과를 일으킨다. 시걸 작품의 신비하고 고독한 분위기는 공공연하게 표현주의적인 성향을 띠고 있다. 미국의 팝 아트는 상징적·익명적·공격적인 반면 영국의 팝 아트는 주관적·직접적이며 그들로서는 비교적 거리감이 있는 팝 문화에 대해 다소 낭만적인 태도를 보인다.
영국의 팝 미술가들은 주로 과학기술과 대중문화를 다루었는데 미국의 몇몇 팝 미술가들은 이러한 생각을 직접 실천하기도 했다. 예를 들면 워홀은 "나는 모든 사람이 일종의 기계라고 생각한다"라는 것을 자신의 모토로 삼았으며 실제 작업에 있어서도 기계가 하듯 작품을 제작하려고 노력했다. 팝 아트는 일반대중에게 전혀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20세기 중반 서양의 산업국가에서 발생한 매스 미디어와 고도의 산업사회에 적합한 대표적인 미술양식으로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팝 미술가들이 스스로 내건 목표는 바로 생활과 구별할 수 없는 미술을 창조하는 것이었다.
'For 감상 > 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칼창으로 파낸 우리 산하 - "정비파(판화가) 전시장에 다녀왔습니다." (0) | 2015.08.21 |
---|---|
[스크랩] 예술 테러리스트 , 뱅크시 (banksy) ART/외국 예술작 (0) | 2015.06.27 |
[스크랩] 가슴 찢어보이는 남자, 만나보십셩~^^ (0) | 2013.12.09 |
보이지않고 들리지않고 말하지않는! (0) | 2013.08.03 |
[스크랩] 에릭 요한슨의 디지털포토그래피 세계 (펌) (0) | 2013.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