黨 제1서기/09,10 (강촛,대붱)
6.2 지방선거 조선일보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소. 그리고 오마이뉴스 경기지사 야4당후보 토론회도 오늘 있소.
퐁당퐁당 당수
2012. 5. 27. 15:35
6.2 지방선거 조선일보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소. 그리고 오마이뉴스 경기지사 야4당후보 토론회도 오늘 있소. 깨방정게시판
[6·2 지방선거] 경기 김문수 41, 유시민 18, 김진표 12%홍영림 기자 ylhong@chosun.com 입력 : 2010.04.26 02:57 野후보 단일화 땐… 김문수 42.6, 유시민 32.5%, 김문수 47.3, 김진표 21.0%조선일보·한국갤럽의 여론조사에서 6·2 지방선거 최대 승부처인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광역단체장은 한 나라당 후보들이 모두 앞서 있었다. 천안함 침몰과 간첩사건 등 안보 이슈로 인해 한명숙 전 총리 1심 무죄판결과 4대강 사업 등 여권에 부담스러운 악재들의 효과가 덮여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여야 주요 후보들의 지지율 차이가 10%포인트가량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스폰서 검찰' 논란과 국회 차원의 천안함 진상조사특위 조사결과 등에 따라 판세가 흔들릴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있다.◆서울 한나라당에 서 오세훈 시장이 나설 경우엔 지지율이 48.5%로 민 주당 한명숙 전 총리(36.6%)를 앞섰고, 진 보신당 노회찬 대표 5.8%, 자 유선진당 지상욱 대변인 1.1%, 민 노당 이상규 시당위원장 0.5% 등이었다. 20·30대에선 한 전 총리가 앞섰고, 50·60대 이상에서는 오 시장이 높았다. 권역별로는 성동·광진·동대문·중랑·성북·강북·도봉·노원 등 서울 북동(北東)지역에선 한 전 총리가 2%포인트가량 앞섰고, 나머지 지역은 모두 오 시장이 우세했다. '한 전 총리의 1심 판결 이후 한 전 총리에 대한 이미지 변화'를 묻는 질문에는 '변화없다'(47.8%)가 절반가량이었으며 '나빠졌다'(25.8%)가 '좋아졌다'(19.7%)에 다소 높았다. 지지하는 서울시 교육감 후보의 성향은 진보(44.8%), 보수(19.3%), '상관없다·모르겠다' 36.0% 등이었다. ◆경기 한나라당 후보로 확정된 김문수 지사를 상대로 민주당·국민참여당의 단일 후보로 유시민 전 장관(국참당)이 나설 경우 김 지사 42.6%, 유 전 장관 32.5%, 진보신당 심상정 전 대표 2.3%, 민노당 안동섭 도당위원장 1.6%였다. 유 전 장관 대신 민주당 김진표 의원이 후보일 경우엔 한나라당 김 지사 47.3%, 민주당 김 의원 21.0% 등이었다. 야권 단일화 실패로 인한 3파전에선 김 지사 41.1%, 유 전 장관 18.4%, 김 의원 12.3% 등이었다. 지지하는 경기도 교육감 후보의 성향은 진보(45.2%), 보수(19.4%), '상관없다·모르겠다' 35.4% 등이었다. ◆인 천 한나라당 안상수 시장(42.0%)이 민주당 후보인 송영길 의원(26.9%)을 15.1%포인트 앞섰고, 민노당 김성진 전 최고위원(3.6%), 진보신당 후보인 김상하 변호사(1.3%) 등이 뒤를 이었다. 지지하는 인천시 교육감 후보의 성향은 진보(45.4%), 보수(19.8%), '상관없다·모르겠다' 34.8% 등이었다. 이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서울(3.7%P), 경기(4.4%P), 인천(4.4%P) 등이고 응답률은 서울(18.7%), 경기(26.0%), 인천(24.0%) 등이다. [6·2 지방선거] 수도권 62% "천안함 침몰 北 관련됐다"… "4대강 반대" 49%김봉기 기자 knight@chosun.com'천안함 침몰 원인이 무엇이라고 보는가'란 질문에 '북한이 설치한 기뢰나 잠수정의 어뢰 공격 등 북한이 관련돼 있다'가 62.6%였고, '암초 충돌이나 선박의 노후화 등의 내부 문제이지 북한이 관련되지 않았다'가 18.8%, '모름·무응답'은 18.6%였다. 지지 정당별로는 친노(親盧) 정당인 '국 민참여당' 지지자에서만 '북한과 무관'(54.6%) 답변이 다수로 나왔고, 다른 정당 지지자들은 모두 '북한 관련' 쪽이 높았다. 천안함 사건에 대한 유권자들의 이같은 시각이 어떤 식으로 지방선거에 반영될지 관심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4대강 정비 사업'에 대해선 찬성(34.9%)보다 반대(49.4%)가 더 높았다. 야당이 선거 쟁점으로 '4대강 사업 반대운동'을 부각시키고 있는데, 이것이 확산될 경우 여당에는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른 이슈에 비해 4대강 문제는 연령대별로 입장 차이가 매우 컸다. 20·30대뿐 아니라 40대에서도 4대강 사업 반대가 30%포인트가량 높은 반면 50대와 60대 이상에서는 찬성이 10~25%포인트가량 높았다. 4대강 사업에 대해선 지지 정당별로는 한나라당 지지자에서만 찬성이 많았고, 다른 정당 지지자들은 모두 반대가 다수였다. 이번 지방선거의 또 다른 이슈인 무상 급식에 대해서는 '농·어촌과 저소득층 학생을 대상으로 먼저 실시하고 점진적으로 확대해야 한다' 59.6%, '모든 계층을 대상으로 전면 실시해야 한다' 34.4%였다. 한나라당이 주장하는 '점진적 확대 실시'에 대한 호응이 민주당이 내세우는 '전면 실시'에 비해 높은 것이다. 무상 급식의 '점진적 확대 실시'에는 한나라당 지지자(69.7%)뿐 아니라 민 주당 지지자(55.6%)도 과반수가 찬성했다. ---------------------------------------------------------------------------------------------------------------- ![]()
|